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JavaScript
- Repository
- 웹
- Root
- HTML
- Clone
- 배포
- 원격저장소
- 실행
- Component
- IntelliJ
- Linux
- 연동
- GIT
- setup
- IDE
- 반응형웹
- PROJECT
- react
- 컴포넌트
- 서버
- CSS
- remote
- Navigation
- navbar
- VisualStudio
- 반응형
- vscode
- Windows
- LINK
Archives
- Today
- Total
PINKYETI
[Linux] 리눅스 디렉토리 종류 및 특징 본문
안녕하세요.
오늘은 Linux 디렉토리 종류와 특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.
Linux 에서 디렉토리란 파일 저장소를 의미하며, 최상위 경로(/) 를 기준으로
하위 디렉토리 들이 존재하는 계층적 구조를 이루고 있습니다.
리눅스의 주요 디렉토리 별 특징을 아래 표와 같습니다.
# Linux Directory 종류 및 특징
디렉토리 | 설명 |
/ | 리눅스 파일시스템 최상위 디렉토리 |
/boot | 부팅 시 커널 이미지와 부팅 설정 파일 저장 |
/proc | 시스템 정보 디렉토리로 커널의 기능을 제어 현재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실제 사용되는 하드웨어 정보 저장 |
/lib |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토리 커널의 모듈 파일과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해주는 라이브러리 저장 |
/bin | 기본 명령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root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디렉토리 |
/dev | 시스템 디바이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하드디스크 장치 파일, CD-ROM 등의 파일을 저장 |
/etc |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 및 OS 구성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|
/root | 시스템 관리자 계정(root) 홈 디렉토리 |
/sbin | 관리자용(root) 시스템 표준 명령 및 시스템 관리와 관련된 실행 명령어 저장 |
/usr | 사용자 디렉토리로 사용자 데이터나 어플리케이션 저장 |
/home | 사용자 계정들의 홈 디렉토리 일반 사용자들이 로그인 시 해당 디렉토리에서 시작 |
/var | 가변 자료 저장 디렉토리로 로그/저널 파일 및 메일 데이터 등을 저장 |
/tmp | 각종 작업 및 프로세스 수행 시 임시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모든 사용자에 대해 읽기/쓰기를 허용하며, Sticky Bit 설정으로 파일의 소유자만이 파일 삭제 가능 |
/mnt | 파일 시스템을 임시로 마운트 할 때 사용 |
/lost-found | 파일 및 시스템의 결함 발생 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 |
'# Dev Note > [OS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NTP(Network Time Protocol) 사용하여 타임 서버 동기화하기 (chronyd) (0) | 2024.03.10 |
---|---|
[Linux] Windows 로컬 PC에 Linux 가상 환경 만들기 (VMWare/CentOS) (0) | 2024.02.16 |
[Linux] vi 편집기 자주 쓰는 커맨드 정리 (shell/txt 파일 편집) (0) | 2022.08.09 |
[Windows] IIS를 이용하여 웹 서버(Localhost) 구동하기 (Windows IIS) (0) | 2021.11.01 |